경기도 여주군 신륵사 (神:귀신신 勒:굴레륵 寺: 절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579~631 재위) 때 원효(元曉)가 창건했다고 하나 정확하지 않으며, 신륵사라 부르게 된 유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동국여지승람〉 권7 여주목불우조(驪州牧佛宇條)에 의하면 신륵사는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璧寺)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벽사는 고려시대에 경내의 동쪽 언덕에 벽돌로 된 다층전탑이 세워지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절이 대찰(大刹)이 된 것은 나옹화상(懶翁和尙:혜근)이 입적할 때 기이한 일이 일어난 뒤부터이다. 1379년(우왕 5) 각신(覺信)·각주(覺珠) 등이 절의 북쪽에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나옹의 초상화를 모신 선각진당(先覺眞堂)을 세우면서 많은 전각을 신축하고 중수했다. 1382년에는 2층의 대장각(大藏閣) 안에 이색과 나옹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을 봉안했다. 조선시대에는 억불정책으로 인해 절이 위축되었으나 1469년(예종 1)에 영릉(英陵:세종의 능)의 원찰(願刹)이 되었고, 1472년(성종 3) 절이 확장되고 다음해에 정희왕후가 보은사로 개칭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戒軒)이, 1702년(숙종 28)에는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했다. 1858년(철종 9) 순원왕후(純元王后)가 내탕전(內帑錢)을 희사해 중수했다. 현존 당우로는 금당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조사당(祖師堂:보물 제180호)·명부전·심검당·적묵당·노전(爐殿)·칠성각·종각·구룡루(九龍樓)·시왕전 등이 있다. 또한 다층석탑(보물 제225호)·다층전탑(보물 제226호)·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鐘:보물 제228호)·보제존자석종비(보물 제229호)·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보물 제230호)·석등(보물 제231호) 등과 같은 문화재들이 있다.
남한강 팔각정을 배경으로 가을을 담고 있는 모습이 너무 아름답씁니다. 우리의 마음에 천성적인 정신세계를 두둘게 깨워줍니다. 이런 모습을 모여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이곳까지 오겨된 모든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남한강가에 나루배가 눈에 들어온다. 강가에 있는 관계로 외력의 침입을 받아 여러번 수난을 당한것이 아닌가 생각이든다.
우리에게 차(茶)를 보시 하시는 모습이 아름답씁니다. 그리고 예쁜 찻잔까지..., 고맙씁니다.
다층전탑(多層塼塔) 보물 제 226호:다층전탑의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벽돌에 새겨진 문양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된다. 벽돌(塼)로 만들어진 이 탑은 강변 바위위에 세워져 있어 강을 오르내리는 사람들 눈에 호법신장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 전탑으로 인해서 신륵사를 벽절(壁寺)이라 하기도 한다.
강월헌(江月軒) :남한강변에 위치한 강월헌은 보제존자 나옹화상의 다비(화장터)장솔로 나옹화상의 다비를 기념해 세운 삼층석탑과 맞붙어있는데 ,1972년 홍수로 옛 건물이 떠내려간 이후 지금의 자리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1974년 재건축 한것이다.
신륵사 대장각기비
무아(無我):일체의 존재는 모두 무상하며고(苦)이므로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 인무아와 법무아 둘로 나눈다.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흥사 (0) | 2011.02.16 |
---|---|
불갑사 (佛甲寺) (0) | 2011.02.15 |
칠불사 운상원 가는길의 가을 풍경 (0) | 2010.09.19 |
쌍계사 벽송지엄스님 부도 (0) | 2010.09.16 |
부휴당 선수(浮休堂 善修) 부도 (0) | 2010.09.15 |